창직은 새로운 직업 또는 직무를 만드는 것을 뜻하지요. 한국고용정보원은 창직 과정에 대해 이렇게 설명합니다. ①창조적 아이디어와 활동 ②개인의 지식· 기술·능력·흥미·적성 반영 ③지속적 수익 창출 ④지속가능한 새로운 직업 발굴 ⑤스스로 일자리 창출, 노동시장 진입. 설명은 쉽습니다. 문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감이 잡히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나의 강점이 무엇인지, 그 강점에서 시장성과 경쟁력을 찾을 수 있을지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그런데, 우리 주변에는 창직을 통해 자신만의 직업을 만들어낸 분들이 수없이 많습니다. 그래서 함께 고민하고자 합니다. 창직에 대해서.

말처럼 쉽지는 않겠지만, 구할 수 없으면 만들 수 밖에.

창직은 똑 부러지게 규정하기 어렵습니다. 학자들도 저마다 조금씩 다르게 정의합니다. 본래 학계에서 나온 개념도 아닙니다. 최근 다양하게 변하는 삶의 방식 속에서 자신의 강점을 활용, 자신만의 직업을 만들어 활동하는 사람들을 지켜보던 언론이, 2009년부터 일반적인 창업보다 좁은 의미로 사용하면서 고유명사처럼 확산됐습니다.

창직을 굳이 정의하자면, 창조적으로 자신의 직업능력을 개발해 자신의 재능과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현실화한 결과, 경제적·예술적·사회적 가치를 창출함으로써 창조적 일감과 일자리를 만들어 나가는 자기주도적 직업 및 일자리 개척 활동입니다.

  창직은 ‘평생직장’이 아니라 ‘평생직업’을 찾는 과정이며, 자기 스스로 자신의 직무와 직업을 개발해 활동이면서 자기를 고용하는 과정으로도 설명됩니다. 예술과 문화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직종과 취업 및 창업, 사회공헌활동을 아우르는 모든 결과물로 이해할 수 있지요.

시니어 창직, 경험·경륜 활용 중요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정의야 어떻든, 창직이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아가고 있는 것은 확실합니다. 정부도 ‘청년 창직인턴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청년들이 가진 저마다의 소질과 능력을 바탕으로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결합해 스스로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일을 만들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시니어를 대상으로 창직이 권고되기도 했습니다. 지난 2012년 중소기업청은 시니어의 경력과 전문성에서 출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구체화해 자기주도적으로 직업과 일자리를 개척하는 활동을 지원한다는 취지로 ‘시니어 창직 아이디어 사업’을 전개한 바 있습니다.

당시 중소기업청은 13억원의 예산을 투입, 80여개의 창직 과제를 선정해 각 1000만원 이내에서 창의적 아이디어를 사업아이템으로 구체화하는 과정의 경비를 지원했습니다. 하지만 이 사업은 성공하지 못했지요. 다양한 이유가 있겠으나, 무엇보다 참여가 저조했고, 사업화될 만한 아이디어도 많지 않았다는 후문입니다.

중장년층이 창직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경험과 경력을 살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서현배 SBS CNBC 리커리어센터장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프로젝트를 수주해 업무를 수행해 주는 방식이나 중소기업 임직원 대상의 직무능력 강화 연수사업, 학교와 산학협력으로 취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직무관련 교육을 시키는 사업 등이 유망하다”고 소개합니다.

사실, 중장년층이 도전 가능한 창직 영역은 무궁무진합니다. 중소기업청은 ‘공동창업 또는 창직’을 비롯해 ‘지역 특성화 창직프로그램’에서 도전할 만한 사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귀농귀촌, 창직 분야로 급부상

귀농귀촌과 관련해서도 다양한 직업을 창출할 수 있지요. 

이정원 한국창직협회장은 “귀농귀촌 플래너, 협동조합 플래너 등 이미 활성화된 직업도 있지만, 창직에 적합한 새로운 직업이나 해외에만 있는 신직업도 주목할 만하다”면서, “그동안 1차 산업에만 머물러 있던 농업이 6차 산업 등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면서 미래 직업이 창출될 수 있는 창직 분야로 급부상했다”고 말합니다.

실제로 농촌진흥청이 농업·농촌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유망일자리를 발굴하고 소개하기 위해 진행한 ‘농업·농촌 유망일자리 발굴조사’ 결과를 내놓기도 했습니다. 이 연구에서 선정된 50개 일자리가 흥미를 끕니다. 농산물 생산 및 지원, 6차 산업화, 농촌 삶의 질, 정보통신기술(ICT) 등 융·복합, 농촌지원서비스, 국민생활, 환경·에너지 등 7개 분야에 걸쳐 다양한 창직 대상 직종이 선보였습니다.

보람 찾는다면 사회공헌 제격

창직을 위해서는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요. 전문가들은 창업과 마찬가지로 창직을 위한 전문적인 교육과 컨설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읍니다. 전문기관이 나서 창업과 동일하게 인큐베이팅을 제공하고, 실질적인 사업 안정화 단계에 이를 때까지 마케팅, 브랜딩, 상품기획, 경영지원 등 다양한 사업지원을 병행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하지만 이러한 관점에 대해서는 반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창업과 다를 바가 없기 때문에 창직이 아니라 창업적 마인드로 접근하는 것이 오히려 성공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반드시 경제적 부와 이윤을 창출하는 창직이 아니어도 자신의 소질과 능력을 발휘,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면 무엇이든 창직의 아이템이 될 수 있다는 겁니다.

우재룡 한국은퇴연구소장은 “많은 사람들이 은퇴 후 일에 대해 좋은 일자리에 재취업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일자리’와 ‘일거리’를 명확하게 구분하지 못하면 은퇴생활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고 말합니다.

우 소장은 “일자리는 급여를 받으며 회사의 방침에 따라 일을 해야 하는 직업을 말한다. 반면, 일거리는 조직에 속하든 안 하든 자신이 하고 싶은 활동을 말한다. 대부분 일거리는 보수가 적지만 반대로 보람 있는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강조합니다.

앞으로 내가 할 일, 하고 싶은 일, 해야 하는 일, 계획은 갖고 계신지요? 

로그인

회원가입

비밀번호 재설정

사용자 이름이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세요. 이메일을 통해 새로운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는 링크가 전송됩니다.